대한수면호흡학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Good Sleep은 매년 1월, 5월, 9월 발간 예정입니다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판독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판독

천안단국대학교병원 유신혁

본 자료에서는 수면다원검사 시행과 관련하여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적응증인 수면호흡장애의 진단 및 평가에 초점을 맞춘 수면다원검사 판독에 관한 내용들을 이해하기 쉽게 기술하여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을 비롯한 수면호흡장애 환자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07년 version 1.0 발간을 시작으로 해서 미국수면의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에 서는 수면다원검사 판독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판독 매뉴얼(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을 때마다 갱신 또는 개정하면서 관리하고 있다. 2012년 version 2.0을 거쳐 현재는 2018년 version 2.5가 최신판이며, 본 종설에서는 미국수면의학회 판독 매뉴얼 최신판을 기초로 해서 수면다원검사 결과에 기록되어야 할 항목들을 정리하였다. 중요도에 따라 권장(RECOMMENDED)-일반적인 수면다원검사 결과 판독을 위해 권장되는 규칙, 선택(OPTIONAL)-의사 또는 검사자의 판단(재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규칙 등으로 나누어 표시하였다.


  • 일반적인 지표: 수면다원검사의 일반적인 지표(general parameter)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뇌파(EEG), 안전도(EOG), 턱 및 다리 근전도(chin and leg EMG), 호흡 기류, 호흡 노력, 산소 포화도, 자세, 심전도(ECG) 등이 있다. 이중 뇌파, 안전도, 턱 근전도는 수면 여부 및 단계 판단에 유용한 지표들이며, 호흡 기류, 호흡 노력, 산소포화도는 수면 중 호흡 장애 여부 및 종류 판단에 유용한 지표들이다. 다리 근전도는 다리 움직임 여부 및 장애 판단에, 자세는 수면 중 자세 판단에, 심전도는 심장 기능 및 장애 판단에 도움이 된다.
    일반적인 지표
    뇌파 (electroencephalogram [EEG] derivations)-수면 여부 및 단계 판단에 도움 [권장]
    안전도 (electrooculogram [EOG] derivations)-수면 여부 및 단계 판단에 도움 [권장]
    턱 근전도 (chin electromyogram [EMG])-수면 여부 및 단계 판단에 도움 [권장]
    다리 근전도 (leg EMG derivations)-다리 움직임 여부 및 장애 판단에 도움 [권장]
    호흡 기류 (airflow signals)-무호흡, 저호흡, RERA 등 호흡 양상 판단에 도움 [권장]
    호흡 노력 (respiratory effort signals)-중추성, 혼합성, 폐쇄성 판단에 도움 [권장]
    산소 포화도 (oxygen saturation)-호흡 장애로 인한 저산소증 판단에 도움 [권장]
    자세 (body position)-수면 자세 판단에 도움 [권장]
    심전도 (electrocardiogram [ECG])-심장 기능 및 장애 판단에 도움 [권장]

  • 수면 판독 자료: 수면다원검사의 수면 판독 자료(sleep scoring data)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소등 시각(lights out clock time), 점등 시각(lights on clock time), 총 수면시간(total sleep time, TST), 총 기록시간(total recording time, TRT), 수면 잠복기(sleep latency, SL), 렘수면 잠복기 (stage R latency), 수면 개시 후 각성(wake after sleep onset, WASO), 수면 효율 (sleep efficiency), 각 수면단계의 기간(time in each stage), 총 수면시간에 대한 각 수면단계의 비율(percent of TST in each stage) 등이 있다.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내용이 바로 수면 판독 자료인데, 총 기록 시간과 총 수면시간이 절대적으로 충분한지, 수면 효율은 적절한지, 각 수면단계(1, 2, 3단계 비렘수면, 렘수면)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해 확인해야 한다.
    수면 판독 자료
    소등 시각 (lights out clock time) [시 : 분] [권장]
    점등 시각 (lights on clock time) [시 : 분] [권장]
    총 수면시간 (total sleep time, TST) [분] [권장]
    총 기록시간 (total recording time, TRT) [분]-“소등”에서 “점등”까지의 시간 [권장]
    수면 잠복기 (sleep latency, SL) [분]-“소등”에서 수면으로 판독되는 첫 epoch까지의 시간 [권장]
    렘수면 잠복기 (stage R latency) [분]-수면개시에서 렘수면으로 판독되는 첫 epoch까지의 시간 [권장]
    수면 개시 후 각성 (wake after sleep onset, WASO) [분]-총 기록시간 중 깨어있는 시간에서 수면 잠복기를 제외한 시간 [권장]
    수면 효율 (sleep efficiency) [%]-(TST/TRT)×100 [권장]
    각 수면단계의 기간 (time in each stage) [분] [권장]
    총 수면시간에 대한 각 수면단계의 비율 (percent of TST in each stage)-(time in each stage/TST)×100 [권장]

  • 각성장애: 수면다원검사의 각성 장애(arousal event)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각성 횟수(the number of arousals), 각성 지수(the arousal index, ArI ; number of arousals/TST) 등이 있다. 비렘수면에는 10초 이상의 안정된 수면이 선행됨을 전제로 적어도 3초 이상의 갑작스러운 뇌파 변화가 있는 경우 각성으로 판정하며, 렘수면에서는 위와 같은 뇌파 변화와 함께 1초 이상의 근전도증가가 동반된 경우 각성으로 판정한다. 각성은 무호흡, 저호흡, 호흡노력과 같이 호흡장애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고, 다리 움직임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고, 원인 없이 자발적으로 생길 수도 있으므로 가능한 발생 원인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 호흡장애: 수면다원검사의 호흡 장애(respiratory event)에 포함 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아래의 표에 정리된 항목들이 있다. 수면호흡장애의 진단 및 평가를 위해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할 때 가장 중점을 두고 확인해야 내용이 바로 호흡 장애 관련 내용이다. 특히, 국제수면장애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3rd edition, ICSD-3)의 진단 기준에 따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증상 및 병력 확인에 더해 수면다원검사에서 수면 1시간당 호흡 장애를 합한 횟수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HI) 또는 호흡 장애 지수(RDI)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무호흡, 저호흡, 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 등과 같은 호흡 장애의 판독 기준을 미리 숙지하고 있으면서 수면다원검사의 원자료(raw data)를 실제 판독 및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
    호흡장애
    폐쇄성 무호흡 횟수 (number of obstructive apneas) [권장]
    혼합성 무호흡 횟수 (number of mixed apneas) [권장]
    중추성 무호흡 횟수 (number of central apneas) [권장]
    저호흡 횟수 (number of hypopneas) [권장]
    폐쇄성 저호흡 횟수 (number of obstructive hypopneas) [선택]
    중추성 저호흡 횟수 (number of central hypopneas) [선택]
    무호흡과 저호흡 횟수 (number of apneas+hypopneas) [권장]
    무호흡 지수 (apnea index, AI)-(폐쇄성+혼합성+중추성 무호흡 횟수)×60/TST [권장]
    저호흡 지수 (hypopnea index, HI)-저호흡 횟수×60/TST [권장]
    무호흡-저호흡 지수 (apnea hypopnea index, AHI)-무호흡과 저호흡 횟수×60/TST [권장]
    폐쇄성 무호흡-저호흡 지수 (obstructive apnea hypopnea index, OAHI)-(폐쇄성 무호흡+혼합성 무호흡+폐쇄성 저호흡)×60/TST [선택]
    중추성 무호흡-저호흡 지수 (central apnea hypopnea index, CAHI)-(중추성 무호흡+중추성 저호흡)×60/TST [선택]
    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 총 횟수 (respiratory effort-related arousals [RERAs], total number) [선택]
    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 지수 (RERA index)-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 총 횟수×60/TST [선택]
    호흡 장애 지수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무호흡-저호흡 지수+호흡노력과 관련된 각성 지수 [선택]
    산소 불포화 ≥3% 또는 ≥4%, 총 횟수 (oxygen desaturations ≥3% or 4%, total number) [선택]
    산소 불포화 지수 ≥3% 또는 ≥4% (oxygen desaturation index ≥3% or 4%, ODI)-산소 불포화 ≥3% 또는 ≥4% 총 횟수×60/TST [선택]
    동맥 산소 포화도, 평균값 (arterial oxygen saturation, mean value) [권장]
    수면 중 최저 산소 포화도 (minimum oxygen saturation during sleep) [권장]
    진단 검사 중 저환기 (hypoventilation) 발생 [성인] [선택]
    진단 검사 중 저환기 (hypoventilation) 발생 [소아] [권장]
    적정압력검사 중 저환기 (hypoventilation) 발생 [성인] [선택]
    적정압력검사 중 저환기 (hypoventilation) 발생 [소아] [선택]
    Cheyne-Stokes 호흡 (Cheyne-Stokes breathing) 발생 [성인] [권장]
    Cheyne-Stokes 호흡 (Cheyne-Stokes breathing)의 기간 (절대적인 또는 % of TST) 또는 횟수 [권장]
    주기성 호흡 (periodic breathing) 발생 [소아] [권장]
    코골이 (snoring) 발생 [선택]

  • 심장장애: 수면다원검사의 심장 장애(cardiac event)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수면 중 평균 심박동수(average heart rate during sleep), 수면 중 최고 심박동수(highest heart rate during sleep), 기록 중 최고 심박동수(highest heart rate during recording), 서맥 (bradycardia), 무수축(asystole), 빈맥(sinus tachycardia during sleep), 좁은 복합 빈맥(narrow complex tachycardia), 넓은 복합 빈맥 (wide complex tachycardia),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다른 부정맥 등이 있다. 수면 중에 발생하는 심장 장애는 응급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부정맥을 포함한 심장 장애에 대해 판독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서 대처 방법도 미리 준비해두고 있어야 한다.

  • 움직임 장애: 수면다원검사의 움직임 장애(movement event)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수면 중 주기성 사지 움직임 횟수 (number of periodic limb movements of sleep[PLMS]), 각성과 관련된 수면 중 주기성 사지 움직임 횟수(number of PLMS with arousals), 수면 중 주기성 사지 움직임 지수(PLMS index, PLMSI), 각성과 관련된 수면 중 주기성 사지 움직임 지수(PLMS arousal index, PLMSArI) 등이 있다. 수면 중 측정된 근전도를 통해 주기성 사지운동장애(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PLMD), 교대성 하지근수축(alternating leg muscle activation, ALMA), 입면기 발경련(hypnagogic foot tremor, HFT), 이갈이(bruxism), 렘수면 행동장애(rapid eye movement[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 율동성 움직임 장애(rhythmic movement disorder, RMD) 등 여러 가지 움직임 관련 장애가 있는지도 확인해야한다.

  • 요약 보고: 수면다원검사의 요약 보고(summary statements)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수면 장애의 진단과 관련된 소견 (findings related to sleep diagnoses), 뇌파 이상(EEG abnormalities), 심전도 이상(ECG abnormalities), 행동관찰(behavioral observations), 수면 도표(sleep hypnogram) 등이 있다. 요약 보고는 말그대로 피검자의 방대한 수면다원검사 정보로부터 요점을 뽑아서 간추린 내용으로 피검자의 수면 장애 또는 상태를 일시에 볼 수 있도록 만든 결과이며 주진단 및 감별진단, 뇌파나 심전도 이상, 행동 문제 등 관련 내용을 기록해야한다. 수면 도표는 측정된 생체 신호 및 판독된 내용을 전체 기록시간 동안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든 도표로 전체적으로 수면 상태 또는 장애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