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Sleep은 매년 1월, 5월, 9월 발간 예정입니다
폐쇄성수면무호흡 환자에서 상기도 폐쇄 부위 확인을 위한 단기간 검사와 전체 야간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
폐쇄성수면무호흡 환자에서 상기도 폐쇄 부위 확인을 위한 단기간 검사와 전체 야간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
전남대학교병원 성충만
Editor’s Pick: 폐쇄성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상기도의 폐쇄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으로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서 폐쇄가 발생하는 부위를 아는 것은 수술 성공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상기도 폐쇄 부위와 정도를 알기 위해 다양한 검사들이 도입되어 왔으며, 약물유발수면내시경(drug-induced sleep endoscopy, DISE)이나 약물유발수면투시검사(drug-induced sleep fluoroscopy, DISF)는 상기도의 동적인 변화를 보기 위해 자주 시행되어진다. 이러한 검사들은 약물을 이용한 진정을 통해 실제 수면과 유사한 상태에서 상기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하기 때문에 각성 상태에서 시행되는 다른 검사들보다 우월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검사가 짧은 시간동안 시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단시간 검사가 실제 전체 야간 수면을 대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최근 OSA 환자에서 상기도 폐쇄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short-time 검사와 whole-night 검사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소개해보고자 한다.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을 주소로 분당서울대병원 수면센터를 내원한 환자들 중에서 수면다원검사시에 식도내압검사(pressure manometry, PM)와 DISF를 시행받은 환자들의 의료기록을 통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가 5이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40 이상, 이전 연구개 수술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DISF는 검사실의 C-arm table에서 환자가 반드시 누운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시행하였으며, 미다졸람(Midazolam) 정맥내 주입을 통해 수면을 유도하였다. PM은 카테터(catheter)를 콧구멍을 통해 삽입하였으며, 압력감지기가 식도 중간부위, 후두개, 구개수, 비인두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총 101명의 환자(남성 90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43.8±10.4 세, 평균 BMI는 26.6±3.4 kg/m2, 평균 AHI는 39.7±24.1 회/시간이었다(Table 1). 환자들의 OSA의 중중도(severity)에 따른 비율은 경도(mild) 13.9%, 중등도(moderate) 33.7%, 중증(severe) 52.5%였다. DISF에서 보인 폐쇄 양상에 따른 분석에서 soft palate, combined, tongue-base의 3개의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55.4%, 37.6%, 6.9%의 유병률을 보였고, Sex, BMI, AHI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M에서 보인 폐쇄의 발생 빈도를 retropalatal site와 retroglossal site로 분류하여 평균 비율을 비교했을 때 각각 68.8±30.7%, 31.2±30.7% 였으며, 성별, 나이, BMI, AHI에 따른 폐쇄의 발생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Table 2).
단시간 및 전체 야간 상기도 폐쇄부위 검사의 상관 관계를 보기위해서 DISF상 검사결과에 따라 나누어진 3군 사이의 retroglossal 폐쇄의 평균 비율은 soft palate 군에서 27.2±29.1%, combined 군에서 32.1±31.1%, tongue-base 군에서 59.0±30.6%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igure 1). 하지만 DISF와 PM에 의해 확인된 폐쇄의 양상은 서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DISF에서 soft palate obstruction으로 확인된 56명의 환자중에서 47명의 환자의 PM에서 retroglossal obstruction이 관찰되었고,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만 retroglossal obstruction이 없는 100%의 순수한 retropalatal obstruction으로 확인되었다. DISF에서 Tongue base obstruction으로 확인된 7명의 환자에서도 오직 한명에서만 retropalatal obstruction이 없는 100%의 retroglossal obstruction을 보였고, 나머지 6명에서는 평균 59% 비율의 retroglossal obstruction이 같이 관찰되었다. PM 결과에 따라 retroglossal obstruction 발생 비율이 50%이상인 환자들을 retroglossal obstruction dominant group으로, retroglossal obstruction 발생 비율이 50% 이하인 환자들을 non-dominant group으로 정의했을 때, DISF에서 soft palate obstruction으로 분류되는 환자 56명중 46명(82.1%)이 retroglossal obstruction, non-dominant group이었으며, tongue base obstruction으로 분류된 환자 7명중 5명(71.4%)가 retroglossal obstruction, dominant group으로 나타났다(Figure 2).
본 연구에서는 단시간 검사로서 DISF와 전체 야간 검사로서 PM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시행된 DISF의 결과는 전체 야간 검사로 시행된 PM의 결과와 낮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단시간 검사는 전체 수면 시간의 폐쇄 양상을 모두 대변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DISF에서 tongue base obstruction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soft palate 군의 환자들 중에서도 PM에서는 retroglossal obstruction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는 단시간 검사가 비록 빠르고, 덜 침습적이고, 편리한 검사 방법이지만, 그 결과에서 나타나는 폐쇄 부위와 실제 전체 수면에서의 폐쇄 부위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항상 생각해야 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