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수면호흡학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Good Sleep은 매년 1월, 5월, 9월 발간 예정입니다

체중과 함께 오르내린 수면호흡장애의 굴곡

체중과 함께 오르내린 수면호흡장애의 굴곡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재민

서론 – 평생의 동반자, 체중

저는 원래 통통한 체형으로 살아왔습니다. 인생에서 몇 차례 체중 관리에 몰두한 시기를 제외하면, 늘 몸무게는 조금씩 늘어나 있었습니다. 의예과 1–2학년 때와 군의관 복무 시기를 제외하면, 공부와 수련에 매진했던 본과 생활, 인턴•레지던트 기간 동안 체중은 끊임없이 증가했습니다.그 결과, 임상강사•임상조교수 시절 진료와 연구에 몰두하던 어느 순간에는 제 몸무게가 120kg을 넘게 되었습니다.

피로와코골이, 그리고 고혈압

그 시기 제 일상은 늘 피곤함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잠깐만 누워도 금세 코를 심하게 골며 깊은 잠에 빠졌고,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고혈압 진단을 받았고 약물치료를 시작했습니다. 환자들에게 늘 강조하던 "수면의 질"이 제게는 가장 부족한 요소였던 셈입니다.

전환점 – 코로나19와 생활습관 개선

그러던 중 2020년 코로나 사태가 터지며, 병원과 학회의 각종 회식이 모두 사라졌습니다. 저에게는 뜻밖의 전환점이었습니다. 그동안 미뤄두었던 운동과 식단 조절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출퇴근은 늘 걸어서 했고, 하루 두 끼를 샐러드로 해결했습니다. 평일에는 보통 3–4만 보, 주말에는 5만 보를 걸었습니다. 그렇게 8개월을 보낸 결과 약 45kg을 감량해 75kg까지 내려갔습니다. 놀랍게도 수면무호흡과 고혈압은 모두 사라졌습니다. 이후 약 3년 동안 그 몸무게를 유지하며, 다시 젊음을 되찾은 듯한 활력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다시 무너진 균형 – 의정사태와 야식

하지만 2024년 3월, 의정사태로 전공의들이 사직하면서 상황은 급격히 바뀌었습니다. 주 1-2회 교원 당직을 서야 했고, 낮 동안에는 여전히 의지를 다져 샐러드만 먹었지만, 밤 9시가 넘으면 피로와 허기에 지쳐 치킨 한 마리씩 꼭 시켜 먹었습니다. 원래라면 그 시간에 집 근처 안양천을 걸었겠지만, 당직으로 지친 몸과 마음은 다시 예전의 습관으로 저를 이끌었습니다. 그렇게 1년 반이 흐르니 몸무게는 95kg으로 늘었고, 다시 수면무호흡이 찾아왔으며 혈압약도 복용하게 되었습니다.

고민 – 다시 걸을 것인가, 약을 선택할 것인가

저는 지금 다시 선택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5년 전처럼 힘든 노력을 감내하며 운동과 식이조절에 매달려야 할지, 아니면 최근 등장한 약물치료(예: GLP-1 작용제인 마운자로)를 고려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두려운 것은, 설령 큰 노력을 통해 체중을 줄이고 건강을 되찾는다 해도, 또다시 삶의 어려움이 닥치면 체중이 돌아올 수 있다는 현실입니다. 결국 수면호흡장애와 비만은 단순한 생활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인생의 굴곡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는 사실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결론 – 함께 겪는 여정

이번 경험은 저에게 단순한 의학적 지식 이상의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수면호흡장애 환자들에게 "체중을 줄이면 좋아집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얼마나 가벼운 조언일 수 있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그 길은 험난하고, 때로는 무너지고, 다시 일어서는 긴 여정이기 때문입니다. 저의 이야기가 이 글을 읽는 분들께 작은 공감이 되기를 바랍니다. 환자, 가족, 그리고 의료진 모두가 이 여정을 함께 겪고 있다는 마음으로, 언젠가는 누구나 편안하고 좋은 수면을 누릴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