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수면호흡학회

메뉴열기 메뉴닫기

Good Sleep은 매년 1월, 5월, 9월 발간 예정입니다

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and Period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A Large Multicenter Study

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and Period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A Large Multicenter Study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2024; 17(3): 217-225.
Jae Hyun Soh, Yun Jin Kang, Won-Hyuck Yoon, Chan-Soon Park, Hyun-Woo Shin
https://doi.org/10.21053/ceo.2024.00034

가톨릭의대 강윤진

이 연구는 위치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positional OSA, POSA), 일반적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 그리고 수면 중 주기성 하지운동(Period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PLMS) 간의 관계를, OSA의 중증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사한 대규모 다기관 후향적 분석입니다. 연구진은 4개 기관에서 수집된 6,140명의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벤트 동기화(event-synchronized) 분석을 적용해, 주기성 하지운동 지수(PLMI)와 각성 동반 주기성 하지운동 지수(PLMAI) 등 관련 지표를 평가하고, POSA 여부에 따라 OSA 중증도와 PLMS의 연관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습니다.

먼저중증도별 경향을 보면, severe OSA 환자들은 mild 및 moderate OSA 환자들에 비해 PLMI•PLMAI•PLMS 유병률이 모두 더 낮았습니다. 이는 OSA의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하지운동 동반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패턴을 시사합니다.

또한 전체 표본에서 POSA 환자들은 non-POSA 환자들에 비해 평균 PLMI가 약 4.8회/시간 vs 2.6회/시간, PLMAI가 0.9회/시간 vs 0.5회/시간으로 높았고, PLMS 유병률도 약 11% vs 5.3%로 더 흔했습니다(모두 P<0.001). 다만 하위군 분석에서는 예외가 있어, mild OSA에서는 non-POSA가 PLMS 유병률이 더 높거나(12.1% vs 14.5%)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이 연관성은 severe OSA 하위군에서 특히 뚜렷했습니다. 성별•나이•BMI•AHI를 보정한 후, POSA 환자는 non-POSA에 비해 PLMS 동반 위험이 약 1.55배(OR 1.554, 95% CI 1.065–2.267) 높았습니다. 반면 mild OSA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없었고(OR 0.559, P=0.062), moderate OSA에서는 증가 경향은 있으나 경계선 유의성(OR 1.822, P=0.052)에 그쳤습니다.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POSA에서 PLMS가 더 흔하지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주로 severe OSA에서 확인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임상적으로는, 수면다원검사에서 PLMS가 두드러질 때 POSA 여부와 OSA 중증도를 함께 평가하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는 치료전략을 정교하게 잡는 데 도움이 되며, 연구에서도 POSA가 PLMS를 증가시킬 수 있고(특히 severe OSA에서), OSA가 심해질수록 PLMS가 줄어드는 역상관 패턴이 관찰되었습니다. 따라서 PLMS를 별개 장애로만 보지 않고 체위 의존성(positon-dependence)과 질환 중증도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